Small info

2025년 육아휴직 제도 변경 사항 총정리 급여 인상, 사후지급금 폐지

Adelaide84 2025. 2. 9. 00:16
반응형

2025년 육아휴직 제도 변경 사항 총정리
사후지급금 폐지, 급여인상, 육아휴직기간 연장 

 

출산을 앞둔 예비 부모님이라면 육아휴직 제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. 2025년부터 육아휴직 기간이 연장되고, 급여 수준이 높아지는 등 여러 가지 혜택이 강화됩니다. 이번 글에서는 2025년부터 달라지는 육아휴직 제도를 표로 정리하여 한눈에 보기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.


📅 2025년 육아휴직 제도 개편 주요 내용

 

구분 2024년 까지  2025년 변경 사함
육아휴직 기간 부모 각각 1년 (최대 2년) 부모 각각 1년 6개월 (최대 3년)
육아휴직 급여 (1~3개월) 통상임금의 80% (월 최대 150만 원) 통상임금의 100% (월 최대 250만 원)
육아휴직 급여 (4~6개월) 통상임금의 50% (월 최대 120만 원) 통상임금의 80% (월 최대 200만 원)
육아휴직 급여 (7개월 이후) 통상임금의 50% (월 최대 120만 원) 통상임금의 50% (월 최대 160만 원)
사후 지급금 제도 급여의 25%를 복직 후 6개월 뒤 지급 사후 지급금 폐지 (육아휴직 중 100% 지급)
육아휴직 분할 사용 최대 3회 최대 4회
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만 8세 이하 (초등학교 2학년 이하) 만 12세 이하 (초등학교 6학년 이하)
근로시간 단축 급여 상한 주 10시간 단축 시 월 최대 200만 원 주 10시간 단축 시 월 최대 220만 원

👶 1. 육아휴직 기간 연장

기존에는 부모 각각 1년(최대 2년)까지만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었지만, 2025년부터는 부모 각각 1년 6개월(최대 3년)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예시)

  • 엄마: 출산 후 1년간 육아휴직 사용 → 아빠: 엄마 복직 후 1년 6개월 육아휴직 사용 →
    총 2년 6개월 동안 자녀 양육 가능
  • 부모 모두 육아휴직을 각각 1년씩 사용 → 이후 추가로 아빠가 6개월 더 사용하여 총 3년 육아 가능

👨‍🎓 2. 육아휴직 급여 인상

2025년부터 육아휴직 급여가 대폭 인상됩니다. 기존에는 1~3개월 동안 통상임금의 80%(월 최대 150만 원)까지만 지급되었지만, 이제는 **통상임금의 100% (월 최대 250만 원)**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


예시)

  • 기존: 육아휴직 1~3개월 동안 월 150만 원 지급
  • 변경 후: 육아휴직 1~3개월 동안 월 250만 원 지급 (소득 보전 효과 상승)

💼 3. 사후 지급금 폐지

기존에는 육아휴직 급여의 25%를 복직 후 6개월 뒤에 지급하는 방식이었지만, 2025년부터는 사후 지급금 제도가 완전히 폐지됩니다.

 

예시)

  • 기존: 육아휴직 중 월 120만 원 지급 + 복직 후 남은 30만 원 지급
  • 변경 후: 육아휴직 중 매월 150만 원 전액 지급 (복직 후 기다릴 필요 없음)

🛈 4. 육아휴직 분할 사용 횟수 확대

기존에는 육아휴직을 최대 3번까지 나누어 사용할 수 있었지만, 2025년부터는 최대 4번까지 분할 사용 가능합니다.

 

예시)

  • 1차 육아휴직: 출산 직후 6개월 사용
  • 2차 육아휴직: 아이가 어린이집 입학할 때 6개월 사용
  • 3차 육아휴직: 초등학교 입학할 때 6개월 사용
  • 4차 육아휴직: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추가 육아 지원


👩‍🏫 5.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확대

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의 적용 범위가 확대됩니다.

  • 기존: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까지 신청 가능
  • 변경 후: 만 12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6학년 이하 자녀까지 신청 가능
    또한, 주 10시간 단축 시 지원되는 급여 상한액이 200만 원 → 220만 원으로 인상됩니다.

예시)

  • 기존: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부모만 근로시간 단축 가능
  • 변경 후: 초등학교 6학년까지 적용 가능하여 학습 관리 및 육아 지원 가능

🏢 마무리하며

2025년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육아휴직 제도는 부모가 보다 적극적으로 육아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. 특히, 육아휴직 기간 연장과 급여 인상, 사후 지급금 폐지 등은 많은 부모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

출산을 앞두고 있다면, 미리 육아휴직 신청 방법과 변경된 정책을 확인하여 보다 안정적인 육아 계획을 세우시길 바랍니다!

자세한 내용은 고용노동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.

https://www.moel.go.kr/index.do

 

고용노동부

지속가능하고 미래지향적인 노동시장 구축 일자리 기회는 확대하고 일터 문화는 혁신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겠습니다. 이전 슬라이드 다음 슬라이드 자동 넘김 정지 자동 넘김 재

www.moel.go.kr

 

반응형